본문 바로가기
역사의 여행

[1차 세계 대전] 슐리펜 계획

by 툴루저 2023. 3. 27.
반응형

슐리펜 계획의 구도 / 위키피디아

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1914년 7월 28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를 침공하게 됩니다. 이후 러시아 제국은 세르비아 왕국을 위해 총 동원령을 내렸으나, 8월 1일 독일 제국은 러시아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게 되고, 이후 연달아 8월 3일 독일 제국은 프랑스를 향해 선전포고를 하고, 벨기에를 침공함으로써 그 유명한 슐리펜 계획이 발동하게 됩니다. 

 

슐리펜 계획의 기본 구조

 

슐리펜 계획은 1905년 알프레드 폰 슐리펜 장군이 개발한 독일의 군사 전략입니다. 이 계획은 서쪽으로는 프랑스, 동쪽으로는 러시아라는 두 개의 전선에 적대 세력에 둘러싸여 있는 독일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프랑스를 빠르게 격파한 후 러시아에 맞서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런 계획을 준비한 이면에는 상대적으로 군사 동원이 느릴 것으로 판단되는 러시아가, 군사동원을 준비하는 시간동안 프랑스를 빠르게 제압하고, 이후 동부전선으로 전력을 돌려 러시라를 상대한다는 계획이었습니다.   

슐리펜 계획은 프랑스 방어의 가장 취약한 지점으로 여겨지던 벨기에를 통해 프랑스를 대규모로 신속하게 침공하는 것을 골자로 했습니다. 이 계획은 러시아가 병력을 동원하고 독일을 효과적으로 공격하는 데 너무 오래 걸릴 것이라는 가정에 의존하여 독일이 러시아에 맞서기 전에 프랑스를 빠르게 격파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계획은 매우 세부적이었으며 독일군의 복잡한 일련의 이동과 기동을 포함했습니다. 이 계획에 따르면 독일군의 대부분은 벨기에를 거쳐 프랑스 북부로 이동하고, 소규모 병력은 남부에서 프랑스 군을 저지해야 했습니다. 이 계획은 독일군이 신속하고 단호하게 진격하여 속도와 기습을 통해 프랑스 방어선을 압도하는 것을 요구했습니다.

이 계획에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독일이 벨기에의 중립을 위반하게 되면 영국이 프랑스 편에 서서 전쟁에 참전할 수도 있었습니다. 또한 이 계획은 프랑스가 효과적인 방어를 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가정했는데, 이는 심각한 오산이었습니다.

 

슐리펜 계획 실행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독일은 슐리펜 계획을 실행에 옮겼습니다. 독일군은 벨기에와 프랑스 북부를 빠르게 침공하여 상당한 이득을 얻고 프랑스 군을 파리로 밀어붙였습니다. 그러나 프랑스가 예상보다 강력한 방어를 구축하고 영국이 프랑스 편에 서서 전쟁에 참전하면서 계획은 틀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지금 판단해 본다면, 독일 한 나라가, 벨기에, 프랑스, 러시아를 침공하고, 이후 영국까지 상대한다는 대단히 어려운 전쟁임에도 독일군 내부에 소통 채널을 구축하는데 소홀했다는 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슐리펜 계획에 의하면 개전후 42일 안에 프랑스를 점령했어야 하나, 벨기에가 거세게 저항하는 바람에 시간이 지체되었고, 이후 프랑스 역시 거센 저항에 부딪쳐, 42일 안에 프랑스를 점령한다는 계획이 틀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슐리펜 계획의 문제점은 파리를 점령한다고 해서, 프랑스를 함락시킨다는 보장이 없는데, 파리만 점령하는 것에 플랜이 세워져 있는 것도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독일군은 프랑스에 더 진격하면서 병력이 부족해졌고 러시아군의 빠른 동원과 독일 동부 영토로의 진격에 대응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독일이 피하고자 했던 양전선이 형성되었고, 결국 독일이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결론 

 

슐리펜 계획은 단일 군사 전략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 그리고 군사 작전에서 비상 계획과 유연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벨기에, 프랑스, 러시아를 상대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면, 그 공격이 시작되었을때, 어떤 국제 정치적 여파가 생길지를 고려하지 않고 순전히 군사적인 측면에서 전략을 세운 것이 약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벨기에를 침공했을때, 영국은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 러시아가 빠르게 군사동원을 했을때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에 대한 준비가 소홀했습니다. 그리고 슐리펜 계획은 철도가 등장하고 기관총이 등장하는 새로운 전쟁의 양상에는 맞지 않는 계획이라는 평가가 있습니다. 또한 처음부터 언급을 했듯이 보급도 부족했고, 통신 채널에 대한 중요성을 전형 인식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전쟁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오직 계획대로만 전쟁을 수행하려고만 했던점이 큰 문제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프랑스의 저항 의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그당시 파리는 고립되었으나,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독일에 저항했으며 끝내 슐리펜 계획을 완전히 막아내게 됩니다. 궁극적인 실패에도 불구하고 이 계획은 제1차 세계대전의 경과와 군사 전략 및 계획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