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ice Action

Best Trendline Trading Strategy (Price Action Trading Setup)

by 툴루저 2023. 3. 19.
반응형

 

추세선이란 무엇인가? 

추세선은 swing high 와 swing low 를 연결한 것. 추세선은 선이라고 보다 area로 판단해야 한다. 

꼬리나 몸통의 연결은 상관없고, 추세선에 많이 닿을 수록 신뢰도가 높아진다고 볼수 있다. 

 

추세선을 그리는 이유는? 

 

1) 추세선이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기 때문 : 하지만 추세선 하나만 보고 매매를 오픈하지 않는다. 다른 factor들과 함께 고려해서, 여러가지 진입의 근거가 생길때, 매매를 오픈한다. 

 

 

2) 추체선  이탈은 추세의 변화라고 인식할 수 있기 때문 : 하지만 이때도 마찬가지 이다. 단순히 추세선만 이탈했다고 해서, 진행하던 추세의 반대를 매매하지 않는다. 다른 Price action을 고려한 이후 매매를 오픈해야 한다. 

 

추세선을 그리는 방법 

1. 명확히 보이는 추세선이 좋다. : 추세선을 그릴때 찾기 어려운 추세가 아니라, 명확하고, 그리기 쉬운 추세선을 그린다. 왜냐하면 많은 트레이더들이 같은 추세를 볼 것이기 때문이다. 

2. 여러번 터치하는 것이 신뢰도가 높은 추세선이다. 하지만 신뢰도가 높은 추세선이라고 해서, 반드시 지지와 저항을 보장하진 않는다. 추세선은 언제나 깨지게 마련이다. 

3. 추세선은 선이 아니라, 추세의 영역으로 이해해야 한다. 

4. 추세선을 가이드로 생각하자. 무조건 잘 맞을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된다. 

 

 

추세선은 꼬리에 닿아도 되고, 몸통에 닿아도 된다. 많이 겹치는 영역을 찾는 것이 포인트이며, 닿지 않는 영역이 나와도 괜찮다. 

 

아래쪽도 마찬가지이다. 추세에 맞춰서 적절하게 추세선을 그어주면 된다. 왜냐하면 우리는 추세선을 일종의 가이드로 쓸 것이고, 추세선이 절대 법과 같은 것이 아니라, 영역으로 이해할 것 이기 때문이다. 

 

 

추세선을 이용한 매매는 추세추종 매매와, 역추세 매매 2가지가 있다. 

 

1) 추세추종 매매 

High Confluence! 

- High Confluence 영역은 여러가지 Price action 컨셉이 만나는 곳으로, 높은 가능성의 트레이딩 셋업을 위한 최적의 트레이딩 존을 만든다. 

- 많은 트레이더들이 이 영역을 집중한다는 뜻 

 

다음과 같이 여러가지 근거로 트레이더들이 집중하는 영역이 된다. 

 

 

추세선 근처에서 장악형 캔들이 나왔지만 그것을 근거로 진입할 수 없다. 

왜냐하면 작은 시간단위에서는 상승하는 추세로, 추세선을 언제든지 깰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승하는 추세의 추세선을 그리고, 이 추세가 깨지는지 확인해 본다. 

즉 작은 시간대의 상승 추세가 끝나고, 높은 시간대의 하락 트렌드가 지속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primary trend가 하락이라고 하나, secondary trend가 언제든지 추세선을 뚫고 나갈 수 있기 때문에, 확인매매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상승추세가 깨지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다른 예시를 살펴보자. 

일봉에서의 명백한 하락 추세이다. 이곳에서 추세선에 닿는 순간, 이곳은 지지와 저항이 겹치는 영역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secondary trend는 상승 추세 이므로, 이곳에서 상승 추세가 깨지는 것인지 확인후 매매해야 한다. 

 

 

 

 

이것을 4시간 차트에서 보자. 더블탑 패턴을 보고, short에 진입하는 트레이더도 있을 것이고, 좀더 보수적인 trader는 넥라인이 깨지는 것을 보고 진입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키 포인트는 high convergence 영역에서 rejection과 bounce가 일어난 이후 생기는 것이다. 그리고 이 추세 추종은 모든 시간 프레임에 적용할 수 있다. 

 

 

1) 역추세 매매 

 

 

4시간 차트에서 쌍 바닥을 만들면서 하락 추세를 벗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와 저항이 많이 일어난 영역, high convergence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1시간 차트에서 entry point를 찾아보자. 

1시간 차트에서 high convergence 영역에서 지지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짧은 손절을 잡고, 진입을 하는 경우도 있고, 넥라인 돌파 이후 진입할 수도 있다. 

 

 

 

 

 

 

반응형

댓글